분류 전체보기 1473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2. 발문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2. 발문 (2) 사천 川이병연李秉淵(1671~1751) 제시 “비취색소나무숲과세구멍퉁소소리가나는대밭 속에 퇴우이선생의 말씀(글, 휘호)은 후생들이 응당 서둘러 배울 일이요. 망천(왕유王維의 별장이 있던 곳) 초본을 위한 네 폭 그림은 다른 사람의 작품이 아니..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2._(1) 정만수鄭萬遂 발문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2. 발문 (1) 정만수鄭萬遂(1701~1784) 발문 나는 퇴도 이문순공의 외예인바 선생의 절요서 초본을 박형 종상 씨 로부터얻어우리집에서수장하게되었으니, 이는내가성심으로얻 고자 한 연유로 박형이 허락하였다. 그러나 이 초본의 앞뒤로 반드시 외손으로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