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운이강호 13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상(1)

3_&lt;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gt;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사상 (1) 1 &lt;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gt; &lt;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gt;는 퇴계退溪58세시 무오년戊午年 (1558)에 씌어진 친필수고본이다. 수고본 서문의 마지막 부분을 살펴보면,“ 가정무오하사월근서嘉靖戊午夏四月謹..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이 진적첩의 연원과 그 내력에 관하여는 정만수의 부기(발문)내 용을 살펴봐야 한다.23) 이 정만수 부기발문의 내용을 시작으로 첩 내의 다른 발문기록 등을 근거로 이 첩의 연원과 현재 모암문고茅 岩文庫에수장, 보관되기까지의경로..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 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은 총 16면(앞뒤 표지 포함)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표지에‘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 蹟’이라는 겸재의 차자次子정만수鄭萬遂(1701~1784)의 표제表題 와‘부화附畵계상정거溪上靜居무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