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Moam Collection 2010. 5. 21. 21:21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

 

 

 

 


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은 총 16면(앞뒤 표지 포함)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표지에‘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
蹟’이라는 겸재의 차자次子정만수鄭萬遂(1701~1784)의 표제表題
와‘부화附畵계상정거溪上靜居무봉산중舞鳳山中풍계유택楓溪
遺宅인곡정사仁谷精舍’라는 역시 정만수의 글이 씌어있다. 표지
를 열면 두면에 걸쳐 퇴계가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20)를 짓
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겸재의‘계상정거도’가 위치해 있고, 뒷면
4면에 걸쳐 퇴계의 친필수고본인‘회암서절요 서’가 있으며, 다
음 두 면에 두 번에 걸친 우암 송시열의 친필발문과 이 퇴계의
친필수고본의 연원으로부터 자신의 집 인곡仁谷에 전해지게 된
내력을 상세히 적어놓은 겸재 차자 정만수의 부기附記가 있다.
이 뒤 총 4면에 걸쳐 겸재 자신이 이 수고본의 내력을 전하는 3
편의 그림(무봉산중舞鳳山中, 풍계유택楓溪遺宅, 인곡정사仁谷精舍)을 그
려 넣었고 이와 더불어 관아재觀我齋조영석趙榮(1686~1761)과
함께 겸재의 지기知己였던 사천?川(사로?老)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의 제시題詩를 받아 첨부하였다. 그리고 고산鼓山임
헌회任憲晦(1811~1876)의 발문, 구룡산인九龍山人김용진金容鎭

(1878~1968), 그리고 모운茅雲이강호李康灝21)(1899~1980)의 발문
별지가 다음 두 면에 전하고 있다. 진적첩 네 면에 걸친 퇴계의
친필수고본〈회암서요 서〉와 우암의 두 번에 걸친 발문, 모운 이
강호의 발문별지를 제외한 겸재의 4폭 진경산수 기록화를 포함
한 모든 작품들은 진적첩 내 원본면에 작품되어 있다.


첩의 겉표지는 종이를 매우 두텁게 만들었으며 속지는 닥나무
로 만들어진 종이로 되어있어 전형적인 조선시대 첩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도 1) 아무런 수리의 흔적이나 변형된 부분을 찾
아볼 수 없고 그 원형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22)

------------------------------------------------------------------------------------

20) 흔히‘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서序’라 불리어지고 있는데 이는
정확하지 않다. 이 퇴계선생의 친
필수고본親筆手稿本서序와 퇴계
가 엮은 편저는‘회암서절요晦庵
書節要서序’와‘회암서절요晦庵
書節要’라 불리어져야 한다. 이에
관한 설명은 다음 장‘회암서절요
서’편에서 하기로 한다.

21) 본관 전주. 효령대군 18대손.
학자이자 서화감식가이다. 전 충
남대학교 총장 동교東喬민태식
閔泰植(1903~1981), 학자이자 정
치가인 윤석오尹錫五(1912~19
80), 한학자 조국원趙國元, 전 성
균관장 취암醉巖이재서 李載瑞,
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 여의도 성모병원장 간산干山정
환국鄭煥國(1922~1999) 등과 평
생 교유하였다. 고서화 감식에 명
망이 높아 1943년 위당爲堂(담원
園) 정인보鄭寅普(1893 ~1950)
가 그 정취를 극히 찬양하여‘모
운茅雲’이라는 호와 10폭 대작 병
장을 서봉하였다. 이 병장이 지금
까지 모암문고茅岩文庫에 전한다.
이강호, 《고서화古書畵》(삼화인쇄
주식회사, 1978)
Yong-Su Lee, Art Museums
- Their History, Present
Situation and Visio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Chicago: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2007),
p. 60.
22) 문화재청《퇴우이선생진적
첩退尤二先生眞蹟帖》자료설명
참조; 이동환, 《퇴우이선생진적
退尤二先生眞蹟》조사보고(문화
재관리국장서각《국학자료, 21》,
1975), pp. 13~15.
[이동환의 조사보고에 '목록'에 관한

오류가 있다. 이에 관하여 후기하기로 한다.]

 

ⓒ 모암문고 茅岩文庫 The Moam Collection www.moamcollecti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