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Moam Collection 2010. 5. 26. 14:52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이 진적첩의 연원과 그 내력에 관하여는 정만수의 부기(발문)내
용을 살펴봐야 한다.23) 이 정만수 부기발문의 내용을 시작으로 첩

내의 다른 발문기록 등을 근거로 이 첩의 연원과 현재 모암문고茅
岩文庫에수장, 보관되기까지의경로를추적하여보자.


정만수 부기발문에 의하면, 퇴계가 무오년(1558) 그의 나이 58
세시에 친서한 수고본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 선생의 장
손인 몽재蒙齋이안도李安道(1541~1584)가 소장하고 있었고, 이안
도는 이 할아버지의 묵보墨寶를 외손자인 정랑正郞홍유형洪有炯
에게 전하여 주었다. 홍유형은 이 묵보를 다시 사위인 박자진朴
自振(1625~1694)에게 물려주었는데, 박자진이 바로 다른 이가 아
닌 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외조부이다. 겸재의 외조부
인 박자진은 이 퇴계의 친필 <회암서절요 서> 수고본手稿本을 당
대의 대학자인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에게 숭정갑인
년崇禎甲寅年(1674)과 임술년壬戌年(1683) 9년의 시차를 두고 두
번씩이나 찾아가 발문을 받는다. 이 묵보는 박자진의 증손曾孫
인 박종상朴宗祥(1680~1745)에까지 전하여지게 되고, 이에 겸재
의 차자 정만수는 자신의 진외가 재종형인 박종상에게 찾아가
성심으로 퇴계의 묵보를 얻기를 간청하게 되었고 이 만수의 성
심을 안 종상은 이에 이 퇴계의 친필수고본과 우암의 발문, 두
대선생의 묵적을 정만수에게 건네주게 된 것이다. 이리하여 이
두 대선생의 심오한 철학과 혼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묵적이 겸
재의 집인 인곡仁谷에 전하여지게 되었고, 겸재는 이 묵보를 가
보로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첩으로 꾸미고, 묵보를 구해온 자신
의 차자 만수로 하여금 표제와 이 묵보의 내력을 적게 하고 자신
의 진경산수 기록화 4폭을 지기인 사천?川(사로?老) 이병연李秉

淵의 시와 첨부하였던 것이다. 이후 이《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
先生眞蹟帖》은 겸재의 집안 인곡에서 나와 고산鼓山임헌회任憲
晦(1811~1876)의 수중으로 들어가게 되었고, 이 후 동교東喬민태
식閔泰植(1903~1981)24)의 수장품이 되었다. 이 진적첩을 구한 민
태식은 지기였던 모운茅雲이강호李康灝(1899~1980)와 더불어 여
러 차례 이 첩과 퇴계의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 완상玩
賞하신 후 이 연구를 정리하여 논문을 쓰셨으니 이 논문이 바로
“퇴계退溪의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와 일본의 근대문교에 끼친
영향-<퇴계退溪의 친필親筆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문序文친
필초고본親筆草稿本을 얻고서>25)(한국중국학회, 1968)”이다. 비록
40년 전에 씌어진 글이지만 <회암서절요서>에 관한 연구 뿐 아
니라 퇴계선생의 사상과 일본에 미친 영향을 잘 정리한 글로 일
독一讀을 권한다. 다음 장에서 설명하겠지만《퇴우이선생진적첩
退尤二先生眞蹟帖》내內<회암서절요 서> 상단의 덧붙여진 잔글씨
(소서小書)가 민태식이 연구하며 기록한 친필소서이다. 이 작품에
관한 내용은 아니지만 두 분 동교 민태식과 모운 이강호의 완상
기록이 몇 점 전하고 있는데 그 중 한편을 살펴보자.(도 2)

 

 

 


나의벗이李모운茅雲은본시성품이옛분들의서화작품을사랑하
고 완상하기를 좋아하니 그저 혼자 보고 지나가는 일 없이 나와 더불
어 기꺼이 완상하기를 좋아하여 이 글을 쓴다. 지난날 내가 현정회에
있을 때 방문하여 내보인 팔폭병중한폭이빠져있는 것을 보고, 고
필이며 필법이 맑게 빼어나고 아름답고 강건하여 세인 모두 빠진 한
폭을 또한 착각하고 본 것이 아님을 꿰뚫었으니 내가 대단히 민망하

였다. 고서화의 법을 이렇게 항상 완상하는 맛과 항상 보고 감상함이
귀한것이다.
- 을묘(1975) 초여름신록에바야흐로앞마당의풀잎이서로사귀어춤추듯하
며자라고자라나는만장루萬丈樓아래에서동교민태식


이글로 미루어 두 분 교우의 정도를 미루어 알 수 있다. 이렇
듯 소중히 간직하던 가보家寶를 1973년 지기 모운 이강호의 손
자(용수庸銖)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기 위하여 전하여주게 된다. 태
어난 손자와 자子를 기념하여 구입한 이《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
二先生眞蹟帖》을 성심으로 수장 보관하여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
는 것이다. 이상에서 보여지듯 이 진적첩眞蹟帖에는 퇴계退溪와
우암尤庵두二선생先生을 비롯한 많은 문인들의 철학哲學과 예
술혼藝術魂, 그리고 조선朝鮮450년의 역사가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는 것이다.

--------------------------------------------------------------------------------------------

23) 이 부기의 해제는 IV장의 내
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24) 본관 여흥. 철학자이자 서예
가. 고향에서 한학을 배운 뒤 경
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졸
업(1933), 연희전문학교 교수(19
41), 개성박물관 관장(1943), 서울
대학교 교수(1945), 충남대학교
총장(1945), 성균관대학교 유학대
학 초대학장(1968), 이후 동방연
서회 회장, 현정회 고문, 사문학
회 회장, 동양문화연구소 소장 등
을 역임했다.
25) 민태식, “퇴계退溪의 회암서
절요晦庵書節要와 일본의 근대문
교에 끼친 영향-퇴계退溪의 친필
親筆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문
序文친필초고본親筆草稿本을 얻
고서”, 《중국학보 9권》(한국중국
학회, 1968), pp. 47~63.

 

ⓒ 모암문고 茅岩文庫 The Moam Collection www.moamcollecti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