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림산수도疎林山水圖 소림산수도疎林山水圖 도41 <소림산수도> 지본수묵. 김정희. 227.7×60.0cm. 선문대박물관 소장 추사 20대 말이나 30대 초 작품으로 문기文氣가 넘치는 소담한 필치의 산수화를 그려 넣은 부채그림으로, 옹방강체, 유석암(유용)체에 약간 동 기창체를 섞어 쓴 추사의 화제글과 이와 더불어 추사의 지기.. 추사정혼/진작 2010.05.10
두소릉杜少陵절구絶句 두소릉杜少陵절구絶句 도40 <두소릉 절구> 김정희. 114.0×55.0cm. 임옥미술관 소장 추사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 작품으로 보인다. 옹방강체를 약 간 섞어 동기창체로 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시성詩聖인 소릉 小陵(호) 두보(712~770)의 시를 적 어 놓은 것이다. 확실한 진품이나 어떤 이유에 서였는지 .. 추사정혼/진작 2010.05.08
다산초당茶山艸堂현판 다산초당茶山艸堂현판 도39 <다산초당> 현판 김정희. 강진 다산초당 필자가 감상컨대 추사의 20대 중반이나 후반 작품으로 20대의 대표작이 라 할 수 있다. 추사가 다산을 처음 찾아뵐 때 써서 강진 적거지로 가져 간 것으로 알고 있다. 끝부분의‘즉과도인卽果道人’이라 쓴 4자는 후에 각 할 때 모.. 추사정혼/진작 2010.05.03
수선화부水仙花賦목판본 수선화부水仙花賦목판본 도181 <수선화부 1> 목판본 조희룡. 개인 소장 도181 <수선화부 2> 목판본 조희룡. 개인 소장 작자, 배자, 행획으로 보나,‘ 감옹 敢(憨)翁’으로 관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봉 조희룡 작품이다.‘ 석감石憨’,‘ 석감石敢’,‘ 석추石秋’,‘ 석전石癲’, ‘감수 敢(憨.. 추사정혼/진작 2010.04.29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도37 <자하 선생 입연 송별시> 1812(27세). 55.0×70.5cm. 개인 소장 자하紫霞신위는 임신년(1812) 진주 겸 주청사陳奏兼奏請使의 서장관書狀 官으로 청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이때 추사는 입연하는 선배를 위해 <천 제오운첩天際烏雲帖>의 시에서 운을 따 10수의 시를 짓게 .. 추사정혼/진작 2010.04.27
임한경명臨漢鏡銘과 임한경명臨漢鏡銘발문跋文 임한경명臨漢鏡銘과 임한경명臨漢鏡銘발문跋文 도52 <임한경명>과 <임한경명 발문> 김정희. 26.7×33.8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추사 40대 후반 또는 50대 초반 작으로 보이는 예서로 씌어진 작품으로, 호암미술관 소장 <임한경명臨漢鏡銘>(도 75)보다는 수준이 떨어지는 작 품이라 생각된다. .. 추사정혼/진작 2010.04.16
Choice 1 오늘 제가 선택한 곡은 Ne-Yo의 'Mad'라는 곡입니다. 이 곡의 가사에서처럼 누군가에게 무슨 이유인지도 모르고 화를 내며 다툰 기억이 있지는 않으신가요? 음... 저는 저도 모르는 사이 가족들에게 좀 신경질적으로 대하고 있더라구요. 이를 깨닫고 고치려 노력하니 마음도 한결 편해지고 행복해졌습니.. Moam's Choice 2010.04.09
[모암생각 둘] 소중한 것들 [모암생각 둘] 소중한 것들 추사 김정희, <대팽두부> 1856 (71세). 각 129.5×31.9cm. 간송미술관 소장 요 며칠 동안 과연 내가 가지고 있으면서 그 소중함을 모르고 잊고 지내 온 것은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유의 결과 제가 망각하며 살아 온 것은 '가족'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 모암생각 Moam's Thought 2010.04.02
『추사진묵』(절판) 『추사진묵』(절판) 책 소개 한국 미술계에 만연한 위작 유통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평생 동안 연구해온 추사 김정희의 서화 작품을 세심한 감식안을 바탕으로 평가하고 그 진위 여부를 가려낸 치열한 감평서이다. 추사 관련 작품으로 알려져 온 우리 서화 약 200여 편의 서체와 화법 하나하나를 꼼꼼.. 추사정혼/추사진묵 201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