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표 1_인정향투 2 원문보기: http://moamcollection.org/wp/?p=1729 교보문고 PREVIEW 선비의 향기를 맡다 – Bandi/Luni’s 미리보기 정오표 1_인정향투 2 산중영상山中嶺上 山中何列有 嶺上多白雲 秪可自怡悅 不堪持贈君 紫霞七十八叟 산중에 무엇이 있나 산마루에 흰 구름만 가득하구나 다만 가히 스스로 즐거.. 공지 2016.01.16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도37 <자하 선생 입연 송별시> 1812(27세). 55.0×70.5cm. 개인 소장 자하紫霞신위는 임신년(1812) 진주 겸 주청사陳奏兼奏請使의 서장관書狀 官으로 청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이때 추사는 입연하는 선배를 위해 <천 제오운첩天際烏雲帖>의 시에서 운을 따 10수의 시를 짓게 .. 추사정혼/진작 2010.04.27
묵운일루10곡병墨雲一縷十曲 묵운일루10곡병墨雲一縷十曲 송자하送紫霞입연시入燕詩(모암문고) 김정희, 「묵운일루10곡병 - 송자하 입연시」중 2폭, 각폭`130.0×34.5cm, 모암문고 소장 국역 완당전집 권3, pp. 196~200 이 병장 작품은 추사 노년기 중에서도 말기의 작품으로, 돌아가시기 얼 마 전에 작품하신 듯하다. 추사가.. 추사정혼/진작 2010.02.03
자하 신위 자하 신위 생몰년 : 1769-1845 시대 : 조선 분야 : 문신/관료 > 문신-조선후기 > 문신, 화가, 서예가 신위(申緯)에 대하여 신위(申緯) 1769(영조 45)∼1845(헌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화가·서예가.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한수(漢叟), 호는 자하(紫霞)·경수당(警修堂). 아버지는 대사헌 대승(大升)이며, .. 낙서장 2010.01.19
자하 신위 자하 시비, 서울대학교 자하紫霞 신위申緯 조선 후기의 문신·서예가·화가. 19세기 전반에 시(詩)·서(書)·화(畵)의 3절(三絶)로 유명했던 문인이며, 시에 있어서는 김택영이 조선 제일의 대가라고 칭할 만큼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이었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한수(漢叟), 호는 자하(.. 낙서장 201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