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발문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발문 先生此序成於嘉靖戊午, 是時先生年五十八矣。手自淨寫藏之 巾米嘗出以示人, 蓋其微意, 不欲以簒述自居也。後因學者求 觀節要, 則侵以流布, 至有入, 以廣基傳者乃更名朱子書節要, 倂刻目錄及註解, 而序則終不出焉。先生旣沒, 門下諸人始得見 其手稿, 咸謂先..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8.16
4_겸재謙齋정선鄭敾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2) <무봉산중舞鳳山中>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2) <무봉산중舞鳳山中> <무봉산중舞鳳山中>(도 11)은 겸재謙齋71세시 숭정병인년崇禎 丙寅年(1746)에《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에 그려 넣으 신 네 폭의 진경에 바탕을 둔 산수화 중 한 폭으로, 진적첩眞蹟帖 총 16면(앞뒤 표..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12
3_2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 발문 2편 3_2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 발문 2편 이 논고의《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의 내력편에서 언급한대로, 정만수 부기발문附記跋文의 내용을 살펴보면, 퇴계 가 무오년戊午年(1558) 그의 나이 58세시에 친서한 수고본 <회암 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 선생의 장손인 몽재蒙齋이안도..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05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상(2)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사상(2)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 晦菴朱夫子는 亞聖의 자질로 태어 나河洛의계통을이었는데도는우뚝하고덕은높으며, 사업은넓어 서 공로가 높다. 또 그가 經傳의지취(뜻)를 발휘하여 천하 후세를 가 르친 것은 실로 귀신..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31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상(1)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사상 (1) 1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는 퇴계退溪58세시 무오년戊午年 (1558)에 씌어진 친필수고본이다. 수고본 서문의 마지막 부분을 살펴보면,“ 가정무오하사월근서嘉靖戊午夏四月謹..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31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이 진적첩의 연원과 그 내력에 관하여는 정만수의 부기(발문)내 용을 살펴봐야 한다.23) 이 정만수 부기발문의 내용을 시작으로 첩 내의 다른 발문기록 등을 근거로 이 첩의 연원과 현재 모암문고茅 岩文庫에수장, 보관되기까지의경로..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26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 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은 총 16면(앞뒤 표지 포함)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표지에‘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 蹟’이라는 겸재의 차자次子정만수鄭萬遂(1701~1784)의 표제表題 와‘부화附畵계상정거溪上靜居무봉..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