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일상서벽정秋日上捿碧亭(타인 연구작) 추일상서벽정秋日上捿碧亭(타인 연구작) 도203-1 <추일상서벽정> 표지 도203-2 <추일상서벽정> 32.5 x 42.1cm. 개인 소장 ‘신해태정辛亥泰正길상여의관吉祥 如意館’- 신해년이면 추사 66세 때인데 - 표지 글씨(도 203-1)는 추사 제자 중 한 분인 우봉 조희룡 의 글씨이다. 추사 문하에서 수학 할 때 추.. 추사정혼/연구작 2010.05.27
편지 (41세) 편지 (41세) 도47 <편지> 1826(41세). 30.1×31.1cm. 개인 소장 추사 41세(1826) 때 쓴 편지로 이 해에 환갑을 맞은 부친 김노경의 생일 잔치에 주위 친지 분들을 초청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동기창체로 씌어있 으며 물 흐르듯 머뭇거림 없이 시원스럽게 썼다. 이 편지글을 살펴보니 옹 방강체의 영향이 보이.. 추사정혼/진작 2010.05.21
두소릉杜少陵절구絶句 두소릉杜少陵절구絶句 도40 <두소릉 절구> 김정희. 114.0×55.0cm. 임옥미술관 소장 추사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 작품으로 보인다. 옹방강체를 약 간 섞어 동기창체로 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시성詩聖인 소릉 小陵(호) 두보(712~770)의 시를 적 어 놓은 것이다. 확실한 진품이나 어떤 이유에 서였는지 .. 추사정혼/진작 2010.05.08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자하紫霞선생 입연 송별시 도37 <자하 선생 입연 송별시> 1812(27세). 55.0×70.5cm. 개인 소장 자하紫霞신위는 임신년(1812) 진주 겸 주청사陳奏兼奏請使의 서장관書狀 官으로 청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이때 추사는 입연하는 선배를 위해 <천 제오운첩天際烏雲帖>의 시에서 운을 따 10수의 시를 짓게 .. 추사정혼/진작 2010.04.27
조용진曺龍振입연 송별시送別詩 조용진曺龍振입연 송별시送別詩 도34 <조용진 입연 송별시> 1811(26세). 111.2×30.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암 박지원과 그 제자이자 추사의 스승인 초 정楚亭박제가朴齊家(1750~1805)가 청나라 연경 학계와 교유의 물고를 텄다면, 추사 이후 그 교유는 크게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고 그 정점 에 추사가.. 추사정혼/진작 2010.02.09
묵운일루10곡병墨雲一縷十曲 묵운일루10곡병墨雲一縷十曲 송자하送紫霞입연시入燕詩(모암문고) 김정희, 「묵운일루10곡병 - 송자하 입연시」중 2폭, 각폭`130.0×34.5cm, 모암문고 소장 국역 완당전집 권3, pp. 196~200 이 병장 작품은 추사 노년기 중에서도 말기의 작품으로, 돌아가시기 얼 마 전에 작품하신 듯하다. 추사가.. 추사정혼/진작 2010.02.03
송나양봉시送羅兩峯詩부채 송나양봉시送羅兩峯詩부채 도31 <송나양봉시> 부채 1810(25세). 24.1×67.0cm. 개인 소장 추사가 연경에서 돌아온 때가 1810년(경오년) 3월경이니 이로 부터 약 3 개월 후, 경오년 6월 추사선생 25세 때 작품으로 옹방강체가 많이 섞여 있음을 볼 수 있다. 평소 동파東坡소식蘇軾을 몹시도 존경하고 흠모하.. 추사정혼/진작 2010.01.20
양봉 나빙(1733~1799)의 매화그림 양봉 나빙(1733~1799)의 매화그림으로 풀어 본 한중관계 연전 한국 중국간의 고구려를 둘러싼 첨예한 대립이 한창이다. 이런 와중에 과 거 중국 연경 학계와 조선 학자들간의 문 화적 교유를 보여주는 그림이 발견되었 다. 시카고박물관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소장의 나양봉(양봉兩峰나빙羅聘, 1733~1799) 필.. 完/양봉나빙 매화 2010.01.20
2. 추사 서도의 이해 도19 김정희, <부억양양 8곡병>중 2폭, 각폭114.0×38.5cm. 모암문고 소장 추사 서도의 이해 본래 동양의 서화 예술이란 부드럽거나 거친 동물의 털을 모아 만든 붓으로 운필의 묘를 탐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추사 서화예도書畵 藝道의 운필법은 한마디로 말해서 골풍육윤骨豊肉潤입묘통령入妙.. 추사정혼/진작 201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