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상(1)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사상 (1) 1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는 퇴계退溪58세시 무오년戊午年 (1558)에 씌어진 친필수고본이다. 수고본 서문의 마지막 부분을 살펴보면,“ 가정무오하사월근서嘉靖戊午夏四月謹..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31
의문당疑問堂현판 (타인연구작) 의문당疑問堂현판 (타인연구작) 도207 <의문당> 현판 대정향교 자체, 배자, 행획 모두 좋으나 표시(○)한 획, 그리고‘공孔’,‘ 탄誕’글 씨 모두가 이재 권돈인의 필획에 매우 가깝게 보인다. 추사체이기는 하 나 추사의 작품과는 차이가 난다. 혹시 제주에 가서 추사의 제자가 된 강위姜瑋의 작품.. 추사정혼/연구작 2010.05.27
추일상서벽정秋日上捿碧亭(타인 연구작) 추일상서벽정秋日上捿碧亭(타인 연구작) 도203-1 <추일상서벽정> 표지 도203-2 <추일상서벽정> 32.5 x 42.1cm. 개인 소장 ‘신해태정辛亥泰正길상여의관吉祥 如意館’- 신해년이면 추사 66세 때인데 - 표지 글씨(도 203-1)는 추사 제자 중 한 분인 우봉 조희룡 의 글씨이다. 추사 문하에서 수학 할 때 추.. 추사정혼/연구작 2010.05.27
편지 (43세) 편지 (43세) 도48 <편지> 1828(43세). 38.0×51.5cm. 개인 소장 추사 43세(1828) 때 쓴 편지로 이 편지글 역시 추사 41세시 편지글(도 47) 에서 확인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옹방강체의 영향에서 벗어나 추사체 자 체로서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품이다. 추사체 형성과정의 단계를 보 여주는 작품으로 이 편지글 .. 추사정혼/진작 2010.05.26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2 진적첩眞蹟帖의 내력 이 진적첩의 연원과 그 내력에 관하여는 정만수의 부기(발문)내 용을 살펴봐야 한다.23) 이 정만수 부기발문의 내용을 시작으로 첩 내의 다른 발문기록 등을 근거로 이 첩의 연원과 현재 모암문고茅 岩文庫에수장, 보관되기까지의경로..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26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_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2_《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 1 진적첩眞蹟帖의 구성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은 총 16면(앞뒤 표지 포함)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표지에‘퇴우이선생진적退尤二先生眞 蹟’이라는 겸재의 차자次子정만수鄭萬遂(1701~1784)의 표제表題 와‘부화附畵계상정거溪上靜居무봉..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21
편지 (41세) 편지 (41세) 도47 <편지> 1826(41세). 30.1×31.1cm. 개인 소장 추사 41세(1826) 때 쓴 편지로 이 해에 환갑을 맞은 부친 김노경의 생일 잔치에 주위 친지 분들을 초청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동기창체로 씌어있 으며 물 흐르듯 머뭇거림 없이 시원스럽게 썼다. 이 편지글을 살펴보니 옹 방강체의 영향이 보이.. 추사정혼/진작 2010.05.21
송석원松石園바위 글씨 송석원松石園바위 글씨 도46 <송석원> 바위 글씨 서울 옥인동 <송석원>은 서울 옥인동 인왕산 기슭 바위에 추사가 새겼다고 전해지는 글로써 현재 남아있지 않고, 본 도판과 같은 옛 사진으로만 그 흔적을 찾 아볼 수 있다. 송석원松石園은 조선 후기 중인 출신의 시인이었던 천수 경千壽慶(?~18.. 추사정혼/진작 2010.05.21
1_서序 1_서序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은 퇴계退溪이황李滉 (1501~1570)의 친필저술인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와 이 서 문을 접하고 감상하였던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두 편의 발문, 그리고 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진경眞景(실경 實景)에 바탕을 둔 네 폭의 기록화 등이..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20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의 제諸 고찰考察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의 제諸 고찰考察 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의 제諸 고찰考察 《退尤二先生眞蹟帖》을 통해 본 퇴계退溪이황李滉의 사상과 진적첩의 가치 전 시카고박물관 동양 & 고대미술부 연구원 모암문고 茅岩文庫 The Moam Collection 대표 이용수 차례 I. 서序 II. 퇴우..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