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목증영古木曾嶸 고목증영古木曾嶸 도50 <고목증영> 김정희. 각폭 135.0×32.5cm. 개인 소장 추사 40대말 작품이다. 본 문 대자는 40대말 작으로 이미 옹방강체에서 벗어나 예서 획에 구양순 해서체 를 섞어 쓴 행서작품이다. 협서의 작은 글로 씌어진 행서 또한 이와 같은 획과 자체로 이루어져 있어, 추 사체 형성 직전.. 추사정혼/진작 2010.06.14
4_겸재謙齋정선鄭敾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3) <풍계유택楓溪遺宅>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3) <풍계유택楓溪遺宅> <풍계유택楓溪遺宅>(도 12)은 겸재謙齋71세시 숭정병인년崇禎 丙寅年(1746)에《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에 그려 넣으 신 네 폭의 진경에 바탕을 둔 산수화 중 한 폭으로, 진적첩眞蹟帖 총 16면(앞뒤 표..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14
문학종횡文學縱橫 문학종횡文學縱橫 도115 <문학종횡> 행서 대련 각폭 130.8×30.8cm. 부산시립박물관 소장 첫째, 획이 약하며 물고기가 물 속에서 춤추듯 하는 율동미와 생동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작자와 행획으로 보아 우봉 조희룡을 구습한 작자 의 위모작이다. 특히‘광光’자의‘ ’부분 획을 전도 추사진작 &l.. 추사정혼/위작 2010.06.12
4_겸재謙齋정선鄭敾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2) <무봉산중舞鳳山中>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2) <무봉산중舞鳳山中> <무봉산중舞鳳山中>(도 11)은 겸재謙齋71세시 숭정병인년崇禎 丙寅年(1746)에《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에 그려 넣으 신 네 폭의 진경에 바탕을 둔 산수화 중 한 폭으로, 진적첩眞蹟帖 총 16면(앞뒤 표..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12
육경근저六經根抵 (개인소장) 육경근저六經根抵 (개인소장) 도113 <육경근저> 행서 대련. 125.0×30.0cm. 개인 소장 이개인소장 <육경근저> 작품 이 호암미술관 <육경근저>(도 114)보다 잘 쓰인 위작품이다. 표시(○)한 획이 턱없이 약하 고 추사답지는 않으나, 흥선 대원군(이하응)의 서체를 많이 구습한 작자의 위작으로 보.. 추사정혼/위작 2010.06.11
4_겸재謙齋정선鄭敾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1) <계상정거溪上靜居> 4_겸재謙齋정선鄭敾(1676~1759)의 기록화와 발문_1. 기록화_(1) <계상정거溪上靜居> 이 논고 앞부분에서 언급했듯 <계상정거溪上靜居>(도 7)는 겸재 謙齋71세시 숭정병인년崇禎丙寅年(1746)에《퇴우이선생진적첩退 尤二先生眞蹟帖》에 그려 넣으신 네 폭의 진경에 바탕을 둔 산수화 중 한 폭으로 현..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11
선면묵란 扇面墨蘭도 선면묵란 扇面墨蘭도 도112 <선면묵란> 규격·소장처 미상 전도 <인정향투란>(도 15)이나 <소심란>(도 86)과 비교해 보면 이 선면묵 란이 위작이라는 것이 확실해진다. 즉 난옆 중 표시(○)한 부분이 두꺼 워 추사의 필치와 확연히 차이가 나며 꽃도 화점花點이 매우 다르다. 그 러나‘인정향.. 추사정혼/위작 2010.06.05
3_2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 발문 2편 3_2 우암尤庵송시열宋時烈(1607~1689) 발문 2편 이 논고의《퇴우이선생진적첩退尤二先生眞蹟帖》의 내력편에서 언급한대로, 정만수 부기발문附記跋文의 내용을 살펴보면, 퇴계 가 무오년戊午年(1558) 그의 나이 58세시에 친서한 수고본 <회암 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 선생의 장손인 몽재蒙齋이안도..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6.05
송창석정 松窓石鼎 송창석정 松窓石鼎 도 49 <송창석정> 김정희. 각폭 120.0×29.0cm. 개인 소장 추사 40대 중반 혹은 말기 작 으로 보이는 작품이다. 옹방 강체에 동기창, 유석암체 등 각 선학들 자체의 장점들을 취한 후, 이러한 장점들을 가 미하여 섞어 쓴 작품으로 추 사체 완성의 전조가 확실하게 보인다. 협서의 내용.. 추사정혼/진작 2010.06.01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상(2) 3_<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를통해본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사상(2) "회암서절요晦庵書節要서序, 晦菴朱夫子는 亞聖의 자질로 태어 나河洛의계통을이었는데도는우뚝하고덕은높으며, 사업은넓어 서 공로가 높다. 또 그가 經傳의지취(뜻)를 발휘하여 천하 후세를 가 르친 것은 실로 귀신.. 추사정혼/퇴우이선생진적 2010.05.31